티스토리 뷰

Windows 10 배경화면으로 지정하고 싶으나 그림의 사이즈가 보통 배경화면 스케일과 맞지 않을 때, 하지만 전체 그림을 다 보고 싶을 때 우리는 배경 설정을 '맞춤'으로 설정합니다.

그렇게 되면 그림 외의 부분이 검은색으로 보이는데 사실 이 부분이 참 거슬리죠. 

이 검은색 배경 부분을 이미지의 바탕색과 동일하게 바꿔보려고 합니다.

(단, 이미지의 바탕색이 단색일 경우의 팁입니다!)

 

처음에 제어판에서 또는 Windows 바탕화면에서 '우클릭' → '개인 설정(R)'에 들어갑니다.

 

개인 설정 → 배경

'개인 설정'에 들어가면 우측 메뉴 중 '

배경' 탭이 있습니다. 들어가보시면 배경색 선택에 기본적으로 검은색이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.

 

개인 설정 → 배경 → 배경색 선택

조금만 스크롤을 내려보시면 '배경색 선택' 부분에 '사용자 지정 색'을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.

+ 버튼을 눌러줍니다.

 

개인 설정 → 배경 → 배경색 선택 → 사용자 지정 색
개인 설정 → 배경 → 배경색 선택 → 사용자 지정 색 → 자세히

그러면 배경색을 선택할 수 있는 색상 팔레트 팝업이 하나 뜨는데요. '자세히' 글씨를 누르면 RGB 값 형태나 색상 코드표 형태로 직접 값을 입력할 수 있는 부분이 나옵니다.

이제 여기에 배경화면으로 지정한 이미지의 바탕색을 넣어주면 됩니다. 참 쉽죠?

 

배경 이미지의 바탕색은 그림판 툴을 이용해볼게요.

 

그림판 → 도구 → 색 선택

그림판에서 배경화면 이미지를 불러오고 '도구'의 '색 선택'을 눌러주세요.

: 요렇게 스포이드 모양으로 생겼습니다.

 

그림판 → 색 편집

그럼 색 편집 팝업이 뜨는데 우측 하단에 보면 빨강(R), 녹색(G), 파랑(U)에 해당하는 값이 각각 나와 있어요.

 

개인 설정 → 배경 → 배경색 선택 → 사용자 지정 색 → 자세히 (RGB값 입력)

순서대로 244, 241, 232라서 그대로 적어줍니다.

 

개인 설정 → 배경 → 배경색 선택 완료

썸네일을 보면 검은색으로 되어있던 여백 부분이 배경화면 바탕색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끝!

댓글